부자와 영향력 있는 자들에 초점을 맞춰 데이터를 수집하는 알트라타(Altrata)는 9월 14일 발간한 ‘부유하고 영향력있는 대학 동문 순위 2022(University Alumni Rankings of the Wealthy and Influential 2022)에서 출신 대학별 부자의 숫자를 공개했다.
1위 하버드대, 1만 7660명
이들의 기준으로 부자란 빚을 제외한 순자산 3천만 달러 이상을 의미한다. 전 세계에서 순자산이 최소 3000만 달러 이상인 부자(혹은 초고액 자산가)를 가장 많이 배출한 대학은 미국 하버드대라고 한다. 하버드대는 1만 7660명의 부자 동문을 보유하고 있다고 한다. 하버드에 이어 전 세계 2위는 스탠퍼드대(7972명), 3위 펜실베이니아대(7517명)의 부자 동문을 기록했다. 4위는 컬럼비아대(5528명), 5위는 뉴욕대(5214명) 순이다. 2위와 3위를 더한 숫자는 하버드 대학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전 세계를 통틀어 하버드의 부자 동문의 숫자는 압도적인 규모다.
미국 대학들이 부자 동문 규모에서 압도적이지만, '미국 외 지역 대학' 순위에서는 영국 케임브리지대가 4149명으로 1위, 싱가포르국립대가 3653명으로 2위를 차지했다. 뒤를 이어 3위 영국 옥스퍼드대(3356명), 4위 프랑스 인시아드(2625명), 5위 영국 런던정경대(2017명), 6위 캐나다 토론토대(1156명), 7위 인도 뭄바이대(1131명), 8위 중국 베이징대(1101명), 9위 중국 칭화대(1100명), 10위 인도 델리대(1027명) 순으로 뒤를 이었다. 중국의 명문대학인 베이징대와 칭화대가 미국을 제외한 지역에서 부자동문 숫자에서 톱 10에 이름을 올린 것은 중국의 급속한 경제력 상승을 의미한다.
이외에 눈에 뜨이는 학교들로는 공대와 컴퓨터에 특화된 학교들인 미국의 캘택과 인도의 IT가 자수성가한 부자수에서 단연 최고를 기록했다는 점이다. 반면에 태국의 출라롱콘 대학과 쿠웨이트 대학, 그리고 호주의 모나쉬 대학 등은 여성 부자의 숫자에서 단연 두각을 나타냈다. 부자와 상관없이 여성이 최고경영자가 되는 비율에서는 여권이 쌘 호주의 멜버른 대학과 시드니 대학, 그리고 싱가포르 국립대학 등이 두드러졌다. 반면에 프랑스의 인시아드 대학과 영국의 멘체스터 대학과 에든버러대학 그리고 미국의 보스턴대학(보스턴 유니버시티)에는 부모로부터 재산을 물려받은 전통적인 부자 집안 출신들이 많았다.
하버드대가 유독 많은 이유
왜 하버드 대학이 유난히 부자들을 많이 배출하는 것일까? 조사 결과를 발표한 알트라타는 "하버드대 초고액 자산가 동문 규모는 전 세계 초고액 자산가 35만 2230명의 5%에 해당하는 것으로 하버드대학이 졸업생들에게 제공하는 위상과 네트워킹 기회를 반영한다"라고 설명했다. 하버드 졸업생의 경우, 사회적으로 성공한 동문들이 많다 보니 사회가 돌아가는 현상과 정보에서도 빠를 뿐만 아니라 아이디어를 가지고 투자를 받기에도 유리하다. 하버드라는 이름이 좋은 간판과 보증수표 역할을 하기도 한다.
하버드가 가지고 있는 독특한 교육철학이 부자 동문 배출에 한몫했다고 생각한다. 전통적으로 한국이나 일본의 명문대학들은 교육의 목표로 좋은 직장에 취직하거나 사회적 지위를 차지하고 한자리를 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반면에 하버드에서는 직장은 아이디어를 다듬는 단계로, 취업보다는 창업을 격려한다. 또한 새로운 아이디어를 끊임없이 요구하면서, 결단력을 가르치기도 한다. 하버드에서 학생들이 중퇴를 하고 창업을 하는 경우가 많은 것이 바로 이 학교의 학풍이고 분위기다. 또 다른 미국의 명문대학으로 부자 집안 출신들이 많고 교수 진출이 많은 보수적 성향의 예일대 출신들이 스스로 일어선 자수성가형 부자가 적다는 것이 그 증거다.
배울 점
결국 학교가 추구하는 철학과 학풍의 차이가 더 많은 부자 동문을 배출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한국이나 일본의 명문 대학들은 반성을 해야 한다. 교수들부터 자신의 재능과 위치를 본인들의 노력의 결과로 여기는 생각을 버려야 한다고 생각한다. 서울대나 동경대 졸업생에게서 새로운 아이디어가 나오거나 혹은 그 아이디어에 기반해 자수성가 부자가 되는 것을 극히 드물게 본다는 점이다. 공부를 잘한다면, 부자가 되고 싶다면, 올바른 학풍이 있는 대학에 진학하라.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