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4,000억 부자의 빠르게 1억 만들기 5가지 규칙 '돈의 속성'

by jake82 2022. 10. 21.

김승호 회장은 자수성가한 미국 사업가입니다. 대학 때 미국으로 건너가 7번이나 사업에 실패하고도 다시 일어섰습니다. 지금은 미국과 유럽 등지에 1천300여 개 도시락 매장을 갖고 있습니다. 연간 3천여 억 원의 매출을 올리고, 개인 자산이 4천억 원을 넘습니다.

 

김승호 회장이 말하는 빠르게 1억 만드는 5가지 규칙은 이것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고 시작하겠습니다.

 

  1. 1억원을 모으겠다고 마음먹는다.
  2. 1억 원을 모으겠다고 써 붙인다.
  3. 신용카드를 잘라 버린다.
  4. 통장을 용도에 따라 몇 개로 나누어 만든다.
  5. 1,000만 원을 먼저 만든다.

 

이 다섯 가지 규칙을 보고, 이미 하고 있는 분들이나 바로 할 수 있을 것 같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은 이 글을 닫고 바로 해보시기 바랍니다. 말보다는 실행하는 것이, 해내는 것이 더 중요하니까요. 생각을 바꾸고, 행동을 하게끔 하는 게 가장 어려운 일이니까요.

 

이 시대는 생각을 빠르게 시도해 보는 사람이 성공하는 시대입니다. 디지털 시대의 장점은 돈을 들이지 않고, 그다지 많은 노력이나 결단을 하지 않고도 바로 해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시도해보고 안되면 또 다른 방법을 찾아보고, 또 해보고 하는 과정에서 엄청난 배움과 경험을 얻을 수 있고, 놀라운 성장과 부를 이룰 수 있는 시대입니다.

 

5가지 규칙을 보고 해야겠다는 마음이 생기고, 결심이 섰다면 바로 시작하십시오.

그러나 일말의 망설임이나, 고민이나 힘듦이 느껴진다면 이 글을 끝까지 읽으십시오. 생각을 바꾸는 일은 참 어렵지만 이 글을 통해서 조금이라도 영향을 끼칠 수 있기를 바랍니다.

 

 

돼지 저금통
통장을 용도에 따라 몇 개로 나누어 만들어야 합니다. (사진자료: freepik)

 

첫 술에 배부를 수는 없지만, 천리길도 한 걸음부터 이고, 모든 기적의 시작은 이런 작은 흔들림에서 작은 결심에서 시작하기 마련이니까요.

 

스스로를 설득하고 싶고, 용기를 주고, 진짜 해내고 싶다면 끝까지 이 글을 읽어보시기 추천드립니다. 이는 1억 원을 만드는 방법에 대한 이야기지만, '1억 만들기'에만 국한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10억이 될 수도 있고, 100억이 될 수도 있습니다. 아니면 다른 어떤 목표일 수도 있습니다.

 

어떤 목표이든지 이 과정을 적용해서 해보면 모두 이룰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첫째, 1억원을 모으겠다고 마음을 먹는다.

마음을 먹는다는 것은 정말 중요한 일입니다. 마음을 못 먹어서 시작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너무너무 많습니다.

"운동을 시작하겠다, 담배를 끊겠다, 술을 끊겠다, 부자가 되겠다" 많은 사람들이 말은 잘 하지만, 마음을 먹지 못합니다. 저는 부자가 되겠다는 마음을 먹기까지 참 오래 걸린 사람입니다. 이 글 끝부분에도 언급을 하겠지만, 돈에 대해서 부정적인 가치관이 많았습니다.

 

간단히 이야기하면 "돈은 악의 근원이라고 생각하고, 부자들은 탐욕스럽고 부정적인 방법으로 돈을 번다"는 생각이 강했습니다. 투자를 하면서도, 돈을 벌면서도 그 생각은 쉽게 바뀌지가 않았습니다. 그러니 생각만큼 돈이 들어오지 않았습니다. 돈도 하나의 인격체인지라 돈을 싫어하는 사람에게 오지 않습니다. 좋은 부자들을 만나고, 좋은 부자들의 책을 읽으면서 많이 변했지요.

 

무엇보다 돈에 대한 부정적인 가치관을 제대로 된 가치관으로 세우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렸습니다. "돈은 거의 무한대로 어디에나 풍부하게 있다, 생각보다 많은 부자들이 많은 사람들을 이롭게 하며 선한 방식으로 돈을 번다, 돈은 사람을 행복하게 만든다, 내가 돈을 위해서 일하는 것이 아닌 돈이 나를 위해 일하게 만들어야 한다, 돈을 만들어내는 것은 비교적 쉬운 시스템이다." 마음가짐이 변하니, 돈이 저절로 들어왔습니다. 생각이 바뀌니 행동이 바뀝니다.

 

돈이 거의 무한대로 있다고 믿기 시작하니 방법이 떠오르고, 선한 부자들을 따라 돈을 버는 방식도 바뀝니다. 돈이 나를 위해 일하는 방식을 찾고 배우고 익히고 적용하면서 돈이 나를 위해 일하는 것을 경험하게 됩니다.

 

이렇듯 마음을 먹는다는 것은 엄청난 영향력을 가집니다. 내 마음속에 나의 꿈이 이뤄질 것 같은 마음이 안 생기는데 어떻게 현실로 나타날까요? 내가 운동을 할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이 안 드는데, 진짜 운동을 할 수가 있을까요? 내가 부자가 되겠다는 생각이 받아들여지지 않는데, 내가 정말 부자가 될 수 있을까요?

 

먼저 생각을 하고 마음을 먹는 것이 아주 중요합니다!

 

 

둘째, 1억 원을 모으겠다고 써 붙인다.

이제 그 꿈을 책상 앞에 써 붙입니다. 여러분이 볼 수 있는 모든 곳에 써 붙이십시오. 화장실, 모니터 앞, 핸드폰 뒷면, 핸드폰 화면, 사무실 책상 등등 누가 보더라도 상관하지 마십시오. 내 꿈에 호응하는 사람이 많아지면 그 꿈은 더 빨리 이뤄질 확률이 높아집니다.

 

혹시라도 누군가 비난하더라도 신경 쓰지 마십시오. 부자가 된다는 건 어차피 그런 비난에 익숙해져야 하는 일입니다. 이것도 부자가 되는 하나의 과정입니다.

 

저의 꿈 중에 하나는, "모두에게 경제적 자유를 선물하는 사람"입니다. 이걸 핸드폰 뒤에 적어두고 매일 되뇝니다. 그러면 내가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하고 생각을 하게 되어있습니다.

 

매일 그 꿈을 보면서 내가 오늘은 어제보다 더 꿈에 가까워졌는지 아닌지 생각하게 됩니다. 혹시라도 저녁에 봤는데, 바뀐 것 없이 그대로라면 그때라도 무언가를 합니다. 어제보다는 조금 더 꿈에 가까워지도록 아주 작은 행동이라도 합니다. 그 작은 행동들이 모여서 저의 인생을 바꿔 놓았습니다.

 

생각을 한다는 것 자체가 이미 엄청난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저의 성공들은 모두 여기서부터 시작했습니다. 계속 써 놓은 목표를 보다 보니 고민을 하게 됩니다. 어떻게 모두에게 경제적 자유를 선물할 수 있을까? 그래서 부자들이 어떻게 성공했는지 정리해 놓은 것들, 그걸 내 삶에 적용해서 이룬 것들을 나눌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셋째, 신용카드를 잘라 버린다.

또 뻔한 소리 하고 있네 하겠지만, 실천하면 느끼실 겁니다.

신용카드를 자르라는 이야기는 정말 많이 들으셨을 겁니다. 그래서 지금은 지겹다 못해, 귀에 들리지도 않으실 겁니다.

 

그런데 짜증보다 더 무서운 것이 무관심인 거 아시지요? 신용카드를 사용하고 있으면 지출 관리가 잘 되지 않습니다. 분명히 신경 쓰고 아끼려 하고 안 쓰려고 하더라도, 지출 규모가 눈에 정확히 잘 안 보이니 나도 모르게 나가는 돈들이 많습니다. 신용카드를 자르지 않으면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합니다. 소비할 때마다 따로 적거나, 신용카드를 사용하지 않으려는 마음을 끊임없이 먹어야 하니까요.

 

현금이나 체크카드를 가지고 다니십시오. 좀 많이 불편할 수 있겠지만, 그게 부자로 가는 첫걸음입니다.

 

절약을 한다고 모두 부자가 되지는 않지만, 부자가 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절약하고 저축을 해야 합니다. 부자가 된다는 건 일종의 마라톤을 뛰는 것과 같습니다. 42.195km를 완주하기 위해서는 처음 출발선에 서서 출발이라는 걸 해야 합니다. 출발선에서 출발했다고 해서 모두가 완주할 수 있는 건 아니지만, 적어도 출발이라도 해야 완주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습니다. 출발선에 서지도 않았는데, 출발도 하지 않았는데 완주할 수는 없는 노릇이지요.

 

절약과 저축은 그런 출발과 같습니다. 절약과 저축이 없으면 부자로 가는 길에서 중요한 한 가지를 빠뜨리고 시작하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또한, 절약과 저축의 가치를 모르면서 부자가 된다면, 설령 부자가 됐더라도 그걸 절대 길게 유지할 수 없습니다.

 

 

넷째, 통장을 용도에 따라 몇 개로 나누어 만든다.

가장 쉽게는 기본 급여통장 외에 소비 통장, 투자금 통장 그리고 비상금 통장으로 나누는 방법입니다. 우선 은행에 가시거나 핸드폰 은행 앱을 이용해서 계좌 3개를 만듭니다. 계좌 하나를 만들면 두 번째 계좌는 바로 만들 수가 없습니다. 대포 통장 개설 근절을 위해서 20일 영업일(약 한 달) 후에나 개설이 가능합니다. 직접 가면 만들 수 있는 방법도 있다고 하니, 은행을 방문해 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아니면 기존에 만들어 둔 계좌를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그렇게 만든 은행 계좌를 급여통장, 소비 통장, 투자금 통장 그리고 비상금 통장이라고 이름을 짓습니다. 급여통장으로 들어온 돈은 고정지출로 나가게 하고, 소비 통장은 목표 지출액을 기반으로 소비할 돈을 나눠서 넣어 둡니다. 이 통장에는 신용카드를 자르고 대신 사용하는 체크카드를 연결해 둡니다.

 

투자금 통장은 1억 원 만들기를 위한 통장이 되겠지요? 마지막으로 경조사, 선물 등 비상시를 대비한 통장을 만들어 둡니다. 비상금 통장이 없으면 자꾸 투자금 통장을 건드리게 되어있습니다. 투자금 통장을 절대 건드리지 않기 위해서는 비상금 통장을 만들어서 관리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통장을 쪼갰다면, 선저축 후 지출 체제로 패턴을 바꾸는 게 아주 아주 중요합니다. 남는 돈으로는 절대 목표를 달성할 수 없습니다. 우선 목표한 돈에 맞춰서 저축을 하고 남은 돈으로 생활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투자금 통장에 월 저축액을 먼저 저축하고, 소비 통장에 월 지출 비용을 보냅니다. 그리고 소비는 꼭 소비 통장에서만 씁니다. 정말 꼭 써야 하는 급한 돈은 비상금 통장에서 쓰면 됩니다.

 

너무 뻔하고 다 아는 거라고요? 그럼 꼭 하십시오! 하면 됩니다!

 

 

마지막, 1천만원을 먼저 만든다.

목표금액의 10분의 1에 해당하는 금액을 가장 먼저 만듭니다. 1억은 좀 큰돈처럼 느껴지지만 1천만 원은 상대적으로 낫죠. 1년이 걸리든 2년이 걸리든 우선 1천만 원을 모읍니다. 그렇게 1천만원, 즉 목표금액의 10분의 1을 모으면 돈을 모으는 데 재미도 붙고 요령도 생깁니다. 어떻게 해야 할지 눈에 보이기 마련이죠. 그러면 돈 모으는 시간도 줄어듭니다.

 

처음 천만 원을 모으는데 100의 노력이 필요하지만, 그 다음 천만원을 모으는데 90, 그리고 그다음은 80의 노력으로 줄어듭니다.

 

왜 그럴까요? 목표지점에 가까워지면 질수록, 내가 잘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면 들수록 사람은 신나서 하게 되어있습니다. 돈에서 관성이 있어서, 일단 돈 모으는데 속도가 붙기 시작하면 저절로 돈이 모이게 됩니다. 시작하기 어렵고 습관을 들이기가 어려워서 그렇지, 막상 탄력이 붙으면 저절로 모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