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네이버, 포쉬마크를 인수하는 이유 네이버가 북미 최대 중고 거래 플랫폼 포쉬마크(POSH)를 16억 달러, 약 2조 3,400억 원에 인수하기로 결정했다. 일각에서는 '다소 비싸게 사는 것 아니냐'라는 우려의 시각있다. 과연 네이버가 잘하는 것인지 함께 알아보자. 포쉬마크는 어떤 회사인가 미국판 '당근마켓'으로 불리는 포쉬마크는 커뮤니티와 중고거래 플랫폼이 결합된 미국 1위 사업자이다. 2000년에 설립되었고, 국내로 보면 당근마켓, 해외로 보면 인스타그램과 비슷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기본적 구조는, 내가 팔려고 하는 옷을 사진을 찍어서 온라인에 올리면 나와 옷 취향이 비슷한 사람들과 서로 팔로잉을 하고, 또 원하는 제품을 다른 사람과 공유할 수 있다. 물론 서로 대화도 하고, 가격 흥정도 할 수 있다. 네이버, 갑자기 중고 마켓을 .. 2022. 10. 5. 팀 쿡, 메타버스는 싫고 증강현실 AR은 좋아 팀 쿡은 애플 제국의 수장이자 최신 기술의 거물이다. 그런 그가 '메타버스'의 미래에 찬물을 끼얹는 발언을 내놨다. "나는 어떠한 것이든 무엇을 위한 것인지 일반 사람들이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라고 네덜란드 브라이트(Bright)에서 말했다. 그리고 "과연 메타버스가 무엇인지 말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라고 말하며 증강현실(AR)에 대한 긍정적 발언을 했다. 메타버스에 대한 부정적 시각 당연히 애플(AAPL)은 가상현실 헤드셋과 같은 몰입형 기술을 사용하여 사람들이 상호 작용하고, 일하고, 쇼핑하고, 게임을 즐길 수 있는 가상현실(VR) 플랫폼을 준비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인 메타버스에 대한 계획을 아직 공개적으로 발표하지 않았다. 2026년까지 전세계 인구의 25%가 하루에.. 2022. 10. 4. 10월 상위 주식 탑 5 키 포인트 나스닥 종합지수와 S&P 500 지수가 다시 약세장으로 진입했다. 그러나 크게 하락한 주식은 자동으로 좋은 매수가 기회가 된다. 양질의 회사에 투자함으로써 인내심 있는 투자자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익을 높인다. 2022년 마지막 분기에 접어들면서 많은 투자자들은 매도세가 언제 끝날지 궁금해할 것이다. 올해는 기술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가 사상 최고치에서 30% 이상 하락한 반면 S&P 500 지수는 20% 이상 하락하면서 경험 많은 투자자들의 인내심까지 시험했다. 하지만 '고생 끝에 낙이 온다'는 말처럼 가치가 높은 회사를 아주 싼 가격에 포지셔닝할 수 있는 기회다. 아직 투자가 초보인 사람들에게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 사상 최고 고점에서 39%-88% 하락으로 10월에 사서 수십 년 .. 2022. 10. 2. 미국 억만장자 대학 동문 순위 탑 5 부자와 영향력 있는 자들에 초점을 맞춰 데이터를 수집하는 알트라타(Altrata)는 9월 14일 발간한 ‘부유하고 영향력있는 대학 동문 순위 2022(University Alumni Rankings of the Wealthy and Influential 2022)에서 출신 대학별 부자의 숫자를 공개했다. 1위 하버드대, 1만 7660명 이들의 기준으로 부자란 빚을 제외한 순자산 3천만 달러 이상을 의미한다. 전 세계에서 순자산이 최소 3000만 달러 이상인 부자(혹은 초고액 자산가)를 가장 많이 배출한 대학은 미국 하버드대라고 한다. 하버드대는 1만 7660명의 부자 동문을 보유하고 있다고 한다. 하버드에 이어 전 세계 2위는 스탠퍼드대(7972명), 3위 펜실베이니아대(7517명)의 부자 동문을 기록했.. 2022. 10. 1. 영국 파운드 하락, 철의 여인 시대로 영국 파운드화가 최근 역대 최저치의 달러 환율을 기록했다. 한때 1파운드당 1.035달러를 찍기도 했고, 조금 회복하면서 1.07달러 이하를 기록했다. 마거릿 대처(Margaret Thatcher)가 총리이던 1985년 당시의 수준으로 돌아갔다. 대체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것일까? 감세는 하되, 재정은 확대한다 영국은 지난주 금요일에 450억 파운드(약 483억 달러, 한화 약 69조 원), GDP의 1.2%에 해당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감세안을 내놓았다. 런던의 싱크탱크인 재정연구소(IFS, Institute for Fiscal Studies)에 의하면 1972년 이후 최대 규모의 감세안이다. 팬데믹 대응으로 과도한 재정 사용을 충당하기 위해 기존 정부가 계획했던 법인세 증세도 포기했고, 고액 소득자.. 2022. 10. 1. 미국 리쇼어링, 그리고 중국 미국에서 팬데믹을 거치면서 리쇼어링 현상이 강해지고 있다. 리쇼어링의 뜻은 본국으로 기업이 회귀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비용 절감으로 해외에 나갔던 자국 기업이 다시 들어온다는 말이다. 중국이 변하다 팬데믹 기간 동안 제조업이 가장 타격이 컸는데 중국 내에 봉쇄로 인해 수급 문제가 특히 더 많았다. 중국 내에 의존도가 높은 상품들이 특히 문제가 짙었다. 중국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진 데에는 싼 인건비로 인한 중국에 공장 설립이다. 또한 중국 내에 수출하는 제품이 많다면, 중국 내 생산으로, 중국인을 상대로 한 물건들을 팔면 국내 생산 대비 이윤이 많이 남는다. 중국은 인구가 많아, 같은 물건을 판매하더라도 다수의 경제가 통하는 국가이기 때문이다. 팬데믹을 거치면서 중국 내 수출이 막히게 되었고, 중국 내.. 2022. 10. 1. 수익이 없는 ESG는 지속 가능하지 않다 최근 ESG는 지속 가능한 투자인지에 대한 비판적 시선을 받고 있다. 비평가들은 투명성 부족과 뚜렷하지 못한 정의로 인해 투자자가 실제로 투자하는 것에 대한 혼란을 촉발시켰다. 혼란을 가중시키는 것은 ESG에 대한 광범위한 접근 방식 때문이다. 환경 요인과 같은 특정 영역, 사회적 가치 최대화, 수익을 희생하면서 이끌어 내는 이슈화 등이 그런 것이다. ESG란 무엇인가? 기업의 경영활동에서 환경(Environmental),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에 적절한 자원을 배분토록 함을 말한다. 기업의 영향력이 날로 커지는 데 비해 사적 이익의 극대화를 추구하는 기업의 행위를 규율하는 데 정부의 역할만으로는 부족하다는 인식이 확산됨에 따라, 코피 아난 유엔 사무총장이 주창해 2006년 .. 2022. 9. 30. 워렌 버핏이 좋아하는 액티비전 블리자드(ATVI) 오마하의 오라클(Oracle of Omaha) 워렌 버핏이 액티비전 블리자드(ATVI)를 본인이 운영하는 버크셔 해서웨이(Berkshire Hathaway)에서 상위 보유 주식 10위안으로 들였다. 왜 버핏은 ATVI를 10위안에 들 정도로 집착하는 것일까? 워렌 버핏의 투자 철학 그 누구도 워렌 버핏을 현존하는 가장 위대한 투자자라는 것을 부정하지 않는다. 버크셔 해서웨이(Berkshire Hathaway)는 1965년 이래로 20% 이상의 연간 수익률을 창출했다. 최근 몇 년 동안 버핏의 성과는 그보다 훨씬 낮았지만(지난 5년 동안 연간 약 8%),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많은 투자자를 이끌 수 있었던 것은 그의 일관성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버핏은 간혹 일관성 있게 행동하지 않을 때도 있다. 항공.. 2022. 9. 29. 이전 1 ··· 11 12 13 14 15 다음